rendering 2편

브라우저 렌더링에 영향을 주는 build 도구란 무엇인가?

보통 많이 들 사용하는 대표적인 빌드도구는 gulp, grunt, webpack등이 있다.
이러한 빌드도구는 업무의 효율성에서도 탁월하게 도움을 준다.

본인은 gulp와 webpack를 모두 조금씩 사용해보고, gulp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있다.
이유는 webpack은 webpack2를 넘어 webpack3까지나면서 문법을 사용하는 방식도 달라지도 있기때문에,
설정을 하는데 조금 어려움이 있다.
그러한이유로 gulp를 사용하는것이 더 편하다고 느껴 gulp를 사용하고있다.

Read More

rendering 1편

브라우저 렌더링이 이루어지는 과정


웹을 개발하는 사람로써 웹브라우저가 렌더링 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가 아닐까합니다.

저는 왜???
라는 말을 참 좋아하는데요.
어떠한 행위를 할때 ‘왜?’ 라고 생각해보는 과정은 좋은 습관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웹개발을 하는 사람으로써, 어떠한 과정에 한계를 두지 말고 지금은 모르더라도 점진적으로 알아가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우리가 작업을 하는 HTML, CSS, JavaScript가 렌더링 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Read More

emmet1탄

오늘은 많이 사용하는 Emmet을 알아보겠습니다.
많이 사용하시는 에디트플러스에서는 zen coding으로 표현하고있습니다.
이러한 Emmet에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일반 에디트에서는 Emmet의 기능이 없어서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사용이 가능하다는점!!!

Read More

한줄말줄임

데이터를 바인딩할, 예를 들어 게시판의 경우 정해둔 width값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들어올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한줄말줄임을 사용해야한다.
이러한 한줄 말줄임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겠다.

- 적용시 알아두어야 할 것들

하나,
문자열을 줄이는 대다수의 이유는 고정되고 제한된 공간을 유지하며 적절한 텍스트 표현을 하기 위한 것이기에 적용시에는 해당 영역의 width 가 고정폭인 조건이어야 합니다.

Read More

framework 와 library

용어정리

이 카테고리는 비전공자로서 개발자로써 공부하며, 평소 이해하지 못한 단어를 제방식대로 정리하는 카테고리입니다.
제방식대로 풀어 쓴것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류가 있을시 댓글로 남겨주시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

초보개발자로써 나와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이 많을것이다.
세상에는 많은 용어들이 존재한다. 무역용어부터 개발용어까지…..
이러한 용어중 나는 개발자로써 개발 용어에 헷갈리는 것들을 나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려한다.

Read More